고에너지물리 분야 슈퍼컴퓨팅 응용 거대 연구들을 소개한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서, LHC-CMS 실험에서 세계 최대의 KNL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머신러닝 연구와 우주원소 생성 비밀 탐구를 위한 핵격자 유효이론을 소개한다. 또한, 암흑물질 등 고에너지물리 거대연구들을 발굴하고 수행할 수 있는 커뮤니티의 장을 마련한다.
We demonstrate two sampling procedures assisted by machine learning models via regression and classification. The objective is the construction of routines that can be employed for different types of analysis, from finding bounds on the parameter space to accumulating samples in areas of interest. Moreover, for classification, we introduce a boosting technique to improve cases where the...
In this talk, I will present a new theory of DM,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any existing proposal. I will present a theory, in which DM is made up of a novel form of matter, called “gapped continuum”. While ordinary elementary particles have unique masses - for example, each proton in the universe weighs exactly the same - the mass of DM states in our theory is a continuous parameter. I will...
We numerically demonstrate that satellite galaxies in the fuzzy
dark matter model have a tendency to form more flattened and corotating satellite systems than in the cold dark matter model due to the dissipation by the gravitational cooling effect of the fuzzy dark matter. We also show that, even with the same set of initial conditions, the number of satellites surviving becomes smaller in...
뜨거운 빅뱅 (hot big bang) 우주의 초기 조건을 설명하면서 소위 지평선 문제, 평평함의 문제, 그리고 자기홀극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급팽창 시기가 있었다고 현대우주론은 이야기 한다. 급팽창 시기에 이루어진 밀도 요동은 후일 우주의 구조를 만드는 씨앗이 된다. 본 발표에서는 밀도 요동이 급팽창 시기의 ultra-slow-roll 조건 혹은 tachyonic instability로 기인하여 크게 확장되고, 그 결과 원시 블랙홀 이 다수 만들어질 수 있음을 힉스 급팽창 이론의 맥락에서 소개하고 이로부터 우주의 암흑물질 문제가 해결 될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초대칭 틀 안에서 표준모형을 최소한으로 확장한 것을 최소초대칭 표준모형(Minimal Supersymmetric Standard Model – MSSM)이라고 한다. 이 모형은 U(1)_{B-L} 게이지 대칭성을 포함하도록 다시 확장될 수 있으며, 이때 B-L 전하를 가진 새로운 힉스장들이 도입된다. 이 힉스장들과 연관되어 나타날 수 있는 열적 가속팽창, 암흑물질, 그리고 중력파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한다.
Belle 실험은 1999년부터 2010년까지 일본 KEK 연구소 KEKB 전자-양전자 충돌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획득하였으며 B 중간자의 CP 대칭성 깨짐을 최초로 발견함으로써 M. Kobayashi 와 T. Maskawa가 2008년 노벨물리학상에 선정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 바 있다. Belle 실험에 이어 충돌의 휘도를 대폭 높여 flavor 물리의 현안 주제들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고 새로운 물리법칙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2011년부터 Belle II 실험의 건설이 시작되어 2019년부터 SuperKEKB 전자-양전자 충돌기를 사용하여 Belle II 실험이 시작되었다. 이 발표에서는 최근 Belle 과 Belle II 실험에서 얻어진 물리 결과 중 dark sector에 관한 내용들을 소개한다.
SND@LHC는 LHC 가속기에서 생성된 중성미자와 새로운 물리 입자를 관측하려는 실험이다. SND@LHC 실험을 통해 탐구할 수 있는 물리 주제에 대해 소개한다.